고용 계약서 내 제한 조약에 대한 분석

By Jivesh Chandrayan, HSA Advocates
0
641

근로계약서는 특히 고위 경영진 급에 대하여 영업 비밀과 비즈니스 노하우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사회와 고위 경영진은 공개금지, 경쟁 금지, 권유금지, 스카우트 금지 및 가든 휴가 조항을 근로계약서에 사용하여 직원들을 제한하는 계약을 해왔다.

근로 계약서에는 강행적 조항(직원에게 뭔가를 하게 만들어 제약하는 조항) 또는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조약(퇴사 후에도 직원에게 계약상 구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어떤 일을 하지 않기로 하게하는 조약)이 포함되어 있다. 제한적 조약의 집행 가능성과 효율성에 대해 여전히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JiveshChandrayan
Jivesh Chandrayan
파트너 변호사
HSA Advocates

1872년 인도 계약법(Indian Contract Act) 제27조와 헌법 제19조1항g호를 해석하며 법원은 제한적 조약의 집행 가능성을 결정할 때 업계 요구 사항과 개인의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기 위해 노력했다.예를 들어, 경쟁 금지 조항을 통해 직원이 미래의 고용 기회를 갖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은 공공 정책에 따라 시행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고용주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알게 된 노하우와 영업비밀의 권유금지 및 공개금지를 통해 경쟁금지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마찬가지로 설득력이 있다.

경쟁이 치열한 인도의 직업 시장에서 고용주는 특히 지식재산 중심의 부문에서 직원의 지식과 그가 가져올 수 있는 부가 가치를 고려할 때 선별적이다.따라서 특정 기간 동안 직원의 고용 가능성을 금지하거나 고용 가능성 부문을 제한하여 독점적 지식 및 영업 비밀의 사용을 방지하는 근로 계약서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대법원이 상당 부분 명확성을 제공했지만 완벽한 속박 공식은 없다.

Niranjan Shankar Golikari 대 The Century Spinning and Manufacturing Co Ltd의 법원은 그러한 제한 조건이 비합리하거나, 비양심적이거나, 지나치게 가혹하거나, 비합리적이거나, 일방적인 경우가 아니면 제한적 조약이 거래를 제한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하지만 Percept D’Mark (India) Pvt Ltd v Zaheer Khan & Anr에서 법원은 제한적 조약이 근로 기간 동안 거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지만 퇴사 후에는 집행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인도 Superintenence Company 대 Krishan Murgai 사건에서 법원은 “이 종류의 계약[거래 제한]은 바로 보기에 무효이지만,이러한 제한이 주어진 상황에서 정당하다는 증거에 따라 구속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당사자들의 시각에서 합리적라고 판결했다.

Le Passage To India Tours & Travels Pvt Ltd 대 Deepak Bhatnagar 사건의 델리 고등법원은 이러한 제한 조항의 유효성을 고려하면서 “법원은 그러한 제한이 고용주를 보호할 필요보다 크지 않고 직원에게 부당하게 가혹하고 억압적이지 않도록 구성해야 한다”라고 판결했다.

법원의 판례들은 제한적 조약이 고용주에게 안전망을 제공하여 비즈니스를 보호하는 동시에 직원의 기본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점을 반영한다. 고용주는 제한적 조약의 집행 가능성을 평가할 때 특정 형평성 기반 원칙을 따라야 한다. 첫째, 경쟁 금지 조항은 지역적으로 제한되거나 합리적인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Second, employees may be given monetary benefits during the restraint period. 둘째, 근로자는 제한 기간 동안 금전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셋째, 근로계약서에서 손해배상액을 언급하는 것은 제한적 조약의 위반을 방지하는 귀중한 억제책이 될 수 있다. 넷째, 고용주는 직원들에게 입사 전에 근로 계약서와 그 계약의 의미에 대해 독립적인 법률 자문을 구할것을 권유하고 경쟁 기업 목록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그러나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고용주가 모든 직원 계층에 대해 일방적인 동의를 구하는 상용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성문화된 법률에는 내재된 허점이 있고 그러한 제한 계약의 유효성과 집행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지만 고용주는 더욱 독창적인 방법을 통해 제한 조약을 시행해야 할 필요성 증가에 대해 주장해 왔다.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기업 가치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이에 대해 찬성하는 강력한 주장이다.

저자: HSA Advocates – Jivesh Chandrayan, 파트너 변호사